안녕하세요! 돈스탑입니다. 오늘 오랜만에 국내 코스피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쩌다 주식에 이렇게 목을 매게 되었고, 빚을 내서 투자를 하게 되었을까? 정말 우리나라는 정직하게 일해서 돈버는 시대는 끝난것인가? 이번에 다시 재개되는 공매도는 코스피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게 될까? 궁금한게 너무 많고, 앞으로의 전망도 기대되서 이번에도 제 생각과 팩트를 결합해 옮겨 적어볼까 합니다.
코스피 3,100
오늘 코스피 3,100이 깨지고 3,085까지 하락했습니다. 개인이 2조원이라는 금액을 매수 했지만 기관과 외인이 매도 하면서 3,100의 지지선을 지기키 못했는데요. 동학개미운동으로 여기까지 와준 개인투자자들이 엄청나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코스피가 정말 끝을 모르고 가파르게 올랐기 때문에 단순 조정일수도 있지만, 최근들어 기관과 외인의 매도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들이 지지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코스피와 삼성전자는 변동성이 정말 많이 비슷한데, 삼성전자의 조정이 코스피에도 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주 최대 9만 6천원까지 상승하면서 10만전자를 보고 있었는데, 갑작스러운 조정으로 아쉬워하는 분들도 굉장히 많을 텐데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삼성전자는 아직 호재가 많이 남아있고, 아직도 저평가 받는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긍금하시면 지난번에 포스팅했떤 글을 읽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직 코스피에 속한 대한민국 대기업들의 저력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코스피전망은 좋게 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루 코스피가 떨어지고, 본인들의 종목의 주가가 떨어졌다고해서 낙심하지 마시고 정말 본인이 판단했을 때 오를 수 있고, 괜찮은 종목이라고 생각하시면 투자의 기회가 왔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 주가가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호재 / 적정주가 / 전망 / 5g / 반도체)
안녕하세요! 돈스탑입니다. 이번에 삼성전자의 주가가 어디까지 올라갈 수 있을지도 궁금하고, 많은 분들이 삼성전자에 투자하고 계신 것 같아 준비해 보았습니다. 삼성전자에 앞으로 있을 호
donstop.tistory.com
공매도의 영향?
최근 3월부터 공매도 재개목표라는 기사를 접하셨을 거라 생각되는데요. 일단 공매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보유하고 있지 않은 종목을 매도 주문을 내 놓고, 주가가 하락했을 때 그 종목을 다시 매수하면서 차액을 얻어내는 투자전략입니다. 현재 많은 사람들은 공매도가 실시되면 코스피가 다시 하락하고, 개미들은 피해를 볼 것이라고 예상을 하고 있는데요. 정부는 아니라고 얘기하고 있죠. 제 생각을 말씀드리면, 이건 기관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싸움이지 않나 싶어요. 기관은 자본이 많기 때문에 자본을 무기로 주가가 올라갔을 때 공매도를 걸어 놓고, 기관에서 그 종목을 매도하면서 주가하락을 부축이고, 주가가 하락했을 때 다시 그 종목을 매수하면서 시세차액을 얻기 더 쉽다고 생각하는데요. 저도 주식을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았고, 주린이기때문에 정확히 겪어보지 못했지만 제 생각에는 개인이 가지는 이점보다는 기관이 갖는 이점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돈이 없는 사람도 너무 고평가 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종목에 공매도를 걸고, 하락만을 기다리겠죠. 주가를 안정시킨다는 명목이다고 하지만 상승이 아닌 하락만을 기다리는게 과연, 주가를 안정시키는게 맞는지도 생각하게 되네요.
현재 공매도 금지를 시작한지 약 10개월이 지났는데, 이 기간 동안 코스피는 1714.86에서 3148.29로 1433.43(83.58%) 상승을 보였습니다. 코스닥지수도 504.51에서 979.13으로 474.62(94.07%)상승을 보였습니다. 개인투자자들은 불안해하고 있죠. 공매도 금지를 시작한 뒤로 증시가 크게 올랐는데, 다시 공매도를 가능하게 한다고 하니 시장에 들어갔던 돈들이 회수되면서 기존의 박스피를 형성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그럴 것입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2011년도부터 2016년도까지 코스피 2,000을 횡보하다가 2017년에 한차래 오르고 다시 2,000으로 귀신같이 돌아왔습니다. 그러다 이번 코로나와 공매도금지가 겹치면서 코스피도 오르고, 가지고 있던 주가도 올라 좋아하던 개인투자자들은 이번 공매도에 대한 굉장한 불만을 가지게 되는 것 같아요.
빚투에 대해서
하지만 기관에서도 이번 증시에 조정과 안정을 가져와야 한다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저번에도 말씀드렸지만 우리나라는 과하다면 과한게 단점이죠. 1년사이에 가계빚이 101조가 늘었는데, 이 빚이 주식투자로 이어지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큰돈을 투자해야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생각에 본인이 돈이 아닌 은행의 돈으로 투자를 시작하게 된 것인데요. 제 주변에도 대출을 받아 투자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보였습니다. 요즘 사람들은 지금 주식시장이 좋을 때 돈을 어떻게든 벌어야한다 생각하고 올인성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저는 이 방법이 정말 잘못됬다고 생각하는데, 제가 보는 커뮤니티사이트에서는 "왜 빚투가 나쁜 것이냐?"이런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많은 것 같더라고요. 제가 좀 안정적인 사람이라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감당못하는 돈을 빚내고 그돈으로 투자를 진행하는건 저는 잘못됬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기사를 볼때마다 마음이 아파요. 빚투가 당연시 되고 있다는 기사같거든요. 그리고 20, 30대가 벌써 일해서 돈을 벌기보다는 빚을 내서 빨리 한 번 크게벌려고 하는 모습들이 상상되는데요. 노동의 수익이 아닌 투기성 투자의 수익을 원하는 젊은 층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점이죠.
왼쪽의 그림을 보면 20대의 부채가 전체 부채의 1/4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만큼 빚투가 문화가 되어가고 있다는 것인데요. 안타까운 그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주식시장도 돈을 버는사람이 있으면 잃는 사람이 있습니다. 과연 저기 빚투를 하시는 분들은 모두 수익을 내고 있을 까요? 절때 그렇지 않다는 것이죠. 분명 대출이자는 이자대로 갚으면서 오르지 않는 주가를 보면서 힘들어하시는 분들이 있을 거에요. 정부는 이런 빚투에 대한 조치를 해야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너무 과도하게 빚이 몰리고 있는데, 대출제한을 하고는 있지만 저런 빚투를 하는 분들 때문에 정말 대출이 필요하신 분들도 피해를 보는 상황이 생겼으니까요.
올라가는 물가
그렇다면 왜 그들은 빚투를 할 수밖에 없었을까요? 요즘 아파트값은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급격하게 오르고 있습니다. 역대최고라는 말이 나올만큼 집값이 올라가는 상승률이 큰데, 젊은 세대층은 그 돈을 버는데 얼마나 걸릴까요? 평생을 모아도 서울에 있는 집 한채 값을 벌기 힘들 것입니다.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이번 부동산 정책에는 문제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 집값이 53%가 올랐습니다. 부동산을 안정시키겠다는 말과는 다르게, 집값이 폭등했으니까요.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 주식은 개인투자자들에게는 한줄기 희망처럼 보였을 것 같습니다. 요즘에는 예금과 적금만 하던 주부들도 주식을 생각하고 있다고 합니다. 예금, 적금은 더 이상 원금을 보장해준다는 느낌을 못주거든요.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돈을 굴려서 수익창출을 원하지, 원금보장을 원하지는 않는 것 같아요.
올해 코로나로 인해 자영업자들도 굉장히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죠. 그런데 물가 상승률도 무섭습니다. 12월 말 물가지수는 120정도 였으나 1월 중순 169로 약 40%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물가 지수에 맞춰 물가 상승률이 예상되는데, 감자의 경우 현재 1,180원에서 3월에 가서는 1,900원으로 약 50%의 상승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정말 내 월급빼고 다 오르는 이 시기에 빚투로 돈을 벌려는 심정이 이해가는 상황이었습니다. 모두 개인의 생각이 있기 때문에 이게 잘됬고, 잘못됬고를 따질수는 없지만 본인이 어떤일을 하던지 감당할 수 있는 선에서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주식공부 > 이슈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스탑(GME), AMC 공매도 사건! 전세계 증시 약화로 번졌다. (0) | 2021.01.30 |
---|---|
게임스탑(GME), 블랙베리(BB) 숏퀴즈(short squeeze)가 주가에 어떤 영향을? 이 종목 탑승해도 될까요? (1) | 2021.01.26 |
코스피지수 상승! 코스피3200 이대로 괜찮을까? 빚투 괜찮은 걸까? (6) | 2021.01.11 |
니오데이(NIO DAY) 시청 요약(자율주행, ET7, 배터리스위칭) (4) | 2021.01.10 |
2020년 주가 성장률 TOP10 순위! (0) | 2021.01.10 |